본문 바로가기
잡다한걸 알아보기

[정보글]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진입 명령한 푸틴. 전쟁 이유와 주변 국가들의 입장.

by 한스푼더 2022. 2. 22.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을 이끌고 있는 건 당연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일어날지 말지에 대한 이슈들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오늘 러시아의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우크라이나에 러시아군 병력을 진입시켜 배치하라는 명령을 내렸는데 만약 전쟁이 일어난다면 세계 증시가 휘청거림은 물론 유럽 연합과 나토 그리고 미국의 개입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과연 러시아가 원하는 건 무엇이고 왜 전쟁이라는 초 강수를 둬서라도 어떤 걸 빼앗고 지키고자 하는지 찾아봤습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의 시초 "돈바스"

반응형

 

과거 2014년부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국가 경계선에 위치한 돈바스라는 지역에서 잦은 내란이 있었습니다. 지역 특성상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이중국적을 가진 시민들이 대부분이었고 이 지역을 가지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는 다툼이 생기기 일쑤였습니다.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친러 성향의 반군 간의 내전이 시작되었고 러시아는 반군에게 군사적인 병력과 물자를 지원해주었습니다. 시민들 수십만 명이 넘게 러시아 국적의 여권을 소유할 정도로 러시아의 입지가 커지자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게 이 지역의 독립을 주장하였고 그 과정 속에서 이견이 맞지 않아 무력 전쟁까지 퍼지게 되었습니다.

 

돈바스에서의 잦은 내전으로 시민들은 체력적인 소모가 클 수밖에 없었고 급기야 돈바스의 분리독립을 주장하였습니다.

자칭 '루간스크 인민공화국(LPR), 도네츠크 인민공화국(DPR) 수립을 선포하였지만 국제사회에서의 승인을 받지는 못하였습니다. 우크라이나는 당연히 돈바스의 국가 독립을 달갑게 맞이할 수 없었고 그 과정 속에서 러시아는 평화유지라는 명분 하에 평화유지군(러시아 군)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으로 보냈습니다.

 

무력전쟁을 원치 않는 우크라이나는 어쩔 수 없이 돈바스의 독립을 승인할 수밖에 없었고 오늘 승인이 나자마자 러시아 병력을 우크라이나 동부지역으로 침투시켰고 무력전쟁이 일어나는 건 아닌가 싶은 긴장감이 고조된 상황입니다. 이에 관해 과연 미국과 그 주변 국가들은 어떤 반응을 보일지와 설마 실제로 전쟁까지 이어지겠나 싶은 사람들의 의견이 반응 포인트 같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각 국의 의견

 

 

미국과 서방국가의 개입은 어떤 효과를 일으킬까 싶습니다. 이미 영국을 비롯한 수많은 서방국가들이 러시아에 압박을 가하고 있는 상태이고 러시아는 "우리는 항상 외교적 해결을 위한 외교에 열려있다"라는 반응으로 침공계획을 부인한 상태입니다. 이번 사태에 관해 중국 측은 러시아와 같은 입장을 내비치며 러시아 편을 들었다고 합니다. 과거 소련 시절 같은 사회주의 체제의 국가에 대한 동질감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21세기에 러시아같이 큰 나라의 전쟁은 분명 세계 증시와 각종 세계의 금융과 무역 그리고 외교를 뒤흔들만한 요소이고 일각에서는 세계 3차 대전까지 일어나는 건 아닌가 하는 걱정이 있는데 대화만이 유일한 평화 수단이라고 생각합니다. 러시아가 제 아무리 크고 강한 나라라고는 하지만 세계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으니 섣불리 행동을 하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러시아의 대통령인 푸틴도 지금 전쟁을 일으켰다간 적지 않은 피해를 볼 것이고 미국과 서방국가들의 압박에 쉽사리 대응하지는 못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전쟁을 하니 마니 하는 소문으로도 세계 경제가 이미 흔들리기 시작하였는데 아무쪼록 대화를 통한 평화적인 방법만이 러시아에게도 우크라이나에게도 현재 상황에 대한 유일한 탈출구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뉴스에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을 생각한 적도 없다는 식의 언론 플레이를 하고 있지만 정작 돈바스에서는 미국 시민들이 귀국을 하고 대피령이 떨어져 내전상태가 고조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번 전쟁 사건에 대해 그 누구도 눈물을 흘려서는 안 되며 그 누구도 이별을 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세련된 대화만이 갈등을 풀 수 있는 최고의 협상이 아닌가 싶습니다. 전쟁이 일어나지 않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